분류 전체보기 386

특별 고용촉진장려금 대상자, 조건, 지원상품, 신청방법 총정리(고용창출장려금)

이번 포스팅에는 특별 고용촉진장려금의 대상자, 조건, 지원상품, 신청방법에 대해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고용보험에서 진행하는 여러가지 고용안전사업 중 하나가 '고용창출장려금' 제도이며, '고용창출장려금' 제도 중에 하나가 '고용촉진장려금'입니다. 고용보험의 '고용안정사업'은 아래와 같이 분류됩니다. 고용창출장려금 일자리 함께하기 국내복귀기업 신중년 적합직무 고용촉진장려금 청년채용특별장려금 고용안정장려금 고용유지지원금 장년안정지원금 지역고용촉진지원금 목차 1. 특별 고용촉진장려금 대상자, 조건 1.1 특별 고용촉진장려금 지원대상 1.2 특별 고용촉진장려금 지원요건 1.2.1 취업지원프로그램 이수자 1.2.2 취업지원프로그램 이수면제자 2. 특별 고용촉진장려금 지원금액, 지원한도, 신청기간 2.1 특별 고..

생활정보/사업 2022.09.16

실업급여 금액 및 계산기 사용방법 총정리(수급자격)

이번 포스팅에는 실업급여 계산기를 활용하여 실제 얼마의 금액을 받을 수 있는지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일반적으로 이야기하는 '실업급여'는 실제 '고용보험 실업급여'라는 용어이며, '고용보험 실업급여'란 근로자가 실직했을 때 일정기간 급여를 지급하여 생활의 안정 및 재취업을 도와주는 제도입니다. 실업급여에는 구직급여, 취업촉진수당, 연장급여, 상병급여 총 4가지로 분류됩니다. 구직급여 취업촉진수당 : 조기재취업 수당, 직업능력개발 수당, 광역구직 활동비, 이주비 연장급여 : 훈련연장 급여, 개발연장 급여, 특별연장 급여 상병급여 자세한 실업급여에 대한 개념, 조건, 신청방법은 이전 포스팅을 참고 부탁 드립니다. 실업급여 조건, 수급기간, 신청방법 총정리(종류, 절차, 자주하는 질문) 목차 1. 실업급여 ..

생활정보/사업 2022.09.11

실업급여 조건, 수급기간, 신청방법 총정리(종류, 절차, 자주하는 질문)

이번 포스팅에는 실업급여 조건, 수급기간, 신청방법에 대해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실업급여'라고 부르는 것은 실제 '고용보험 실업급여'입니다. 고용보험 실업급여란 고용보험 가입 근로자가 실직하여 재취업 활동을 하는 기간에 소정의 급여를 지급함으로써 실업으로 인한 생계불안을 극복하고 생활의 안정을 도와주며 재취업의 기회를 지원해주는 제도입니다. 실업급여는 실업에 대한 위로금이나 고용보험료 납부의 대가로 지급되는 것이 아닙니다. 실업급여는 실업이라는 보험사고가 발생했을 때 취업하지 못한 기간에 대하여 적극적인 재취업활동을 한 사실을 확인(실업인정)하고 지급합니다. 실업급여 중 구직급여는 퇴직 다음날로부터 12개월이 경과 하면 소정 급여일수가 남아있다고 하더라도 더 이상 지급받을 수 없습..

생활정보/사업 2022.09.10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 총정리(지급대상, 지급액, 급여신청, 시기)

이번 포스팅에는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 관련하여 지급대상, 지급액, 신청시기, 급여신청방법에 대해 말씀드리려고 합니다. 2021년 가임여성 1명당 합계출산율 0.81명으로 홍콩을 제외한 세게에서 2번째로 낮은 출산율입니다. 2012년 합계출산율이 1.3명인 것으로 봤을 때 2030년정도에는 절반 수준으로 떨어질 수 도 있을 것 같습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약 50년 뒤인 2070년에는 전세계인구가 100억 명을 돌파할 예정이지만 대한민국은 3,800만 명까지 감소할 것으로 극심한 인구절벽이 예상됩니다. 지금 2030세대가 아이를 낳지 않는 이유는 정말로 많고 다양합니다. 2030세대를 대표하는 단어가 N포세대(결혼, 출산, 내집마련 등 포기)인 것을 봐도 알 수 있습니다.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를 포함..

출산전후휴가 및 육아휴직 조건, 기간, 급여 신청방법 총정리

이번 포스팅에는 출산전후휴가 및 육아휴직 조건, 기간, 급여 신청방법에 대해 말씀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2021년 대한민국에서 태어난 아이가 26만명으로 2020년보다 1만 2천 명(약 5%)정도 줄어 들었습니다. 2022년 상반기 출생아 수는 2021년 상반기 대비 9.3%가 줄어 역대 최저치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또한, 합계 출산율 기준 0.75명으로 전년 동기 0.82명 대비 0.07명이 감소하였고, OECE 합계출산율 평균 1.6명과 비교했을 때는 '대한민국 소멸'을 걱정할 단계에 이르렀습니다. 출산율 저하의 원인에는 직업 안정, 소득 등 사회경제적 요인, 남녀 가치관의 차이 등 다양한 요소가 있겠지만 기본적으로 육아휴직 제도가 임산부나 아이를 낳으신 분들에게 여유롭게 넉넉하지 못한 것도 큰 이유..

보이스피싱 사례, 대처, 신고, 피해구제방법 총정리(폰액정 실제경험)

이번 포스팅에는 장인 및 장모님께서 실제로 당하신 보이스피싱 사례와 보이스피싱이란 것을 알고 난 후 실제 진행한 조치, 신고 및 피해구제방법에 대해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보이스피싱(Voice Phishing)이란 워낙 많이 들어보셔서 아시겠지만 음성(voice)과 개인정보(private data),낚시(fishing)를 합성한 단어로 전화를 통해 불법적으로 개인정보를 빼내서 사용되는 범죄입니다. 보이스피싱 피해액은 2021년 7,744억원으로 2017년 2,470억 원에서 5년 새 3배 이상 증가할 정도로 많은 분들이 피해를 입고 계십니다. 20-30대 젊은 분들은 워낙 스마트폰을 잘 다루며, 자주 사용하시기 때문에 보이스피싱에 대한 의심으로 상대적으로 많이 걸리시지 않지만 나이가 많으시고 스마트폰을..

생활정보 2022.09.07

ISA 정기예금 금리 비교하는 방법 총정리(은행연합회)

이번 포스팅에는 은행연합회 홈페이지 사이트를 통해서 은행별로 ISA 정기예금 금리를 비교하는 방법에 대해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ISA (Individual Savings Account) 계좌란 하나의 계좌로 예금, 국내주식, 펀드, 리츠 등 다양한 금융상품을 관리하면서, 동시에 절세 혜택도 누릴 수 있는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입니다. ISA 계좌의 특징은 크게 4가지로서, 자세한 사항은 기존 포스팅을 참고 부탁 드립니다. 다양한 금융상품 투자 가능 : 다양한 금융상품을 ISA 계좌 하나로 분산투자 가능하며, 시장 상황에 따라 자유롭게 상품을 교체할 수 있음 절세효과 : ISA계좌에서 발생한 투자수익은 서민형, 농어민의 경우 최대 400만 원까지는 비과세, 그 초과분은 9.9% 저율·분리과세 적용으로 절세..

은행별 예금/적금금리 및 대출금리 비교하는 방법(은행연합회)

이번 포스팅에는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 홈페이지를 통해서 예금금리와 대출금리를 한눈에 비교하는 방법에 대해 말씀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2022년 상반기부터 금격하게 기준금리가 인상되면서 2022년 08월 30일 기준 대한민국 기준금리가 2.5%가 되었습니다. 이렇게 기준금리가 상승하면서 각 은행의 대출금리와 예금금리가 모두 상승하고 있으며, 당연히 각 은행은 본인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예금금리는 조금 올리며, 대출금리는 많이 올리려고 하고 있습니다. 대부분 예금이나 대출을 받으실 때 주거래 은행에서 많이 받으시는 경향이 있지만 크게 이자율이 차이가 나지 않으면 주거래은행이 좋을 수 있으나 주거래 은행이 이자율에서 큰 이점이 없을 경우도 많습니다. 따라서 예금을 하거나 대출을 하기전에 각 은행별로 예금..

비트코인 반감기 주기 및 날짜와 2024년 시세/가격 예상 시나리오(적절한 투자시기)

이번 포스팅에는 비트코인 반감기란 무엇이며, 비트코인 반감기 시기와 비트코인 가격에 대한 과거 패턴과 추후 있을 반감기의 시나리오에 대해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비트코인은 사토시 나카모토에 의해 2008년 10월에 "Bitcoin: A Peer-to-Peer Electronic Cash System"이라는 제목의 9쪽짜리 논문을 통해 공개되었고, 2009년 1월 3일에 비트코인이 처음 발행(제네시스블록) 되었습니다. 비트코인은 모두가 아시는 것처럼 컴퓨터를 통해 채굴을 하며 그 보상을 얻는 가상화폐로서 2140년까지 채굴수량이 일정하게 정해져 있습니다. 수량은 정해져 있는데 컴퓨터의 속도는 점점 빨라지고 채굴량도 많아지기 때문에 비트코인 공급의 속도를 조절하고자 일정 주기로 보상으로 주는 비트코인 수량..

부동산 취득세 신고 및 납부방법 2가지 총정리(위택스, 구청)

이번 포스팅에는 부동산 취득세 신고 및 납부방법 2가지에 대해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부동산을 포함하여 특정 재산을 매수하게 되면 취득에 대한 세금을 납부해야하는데, 이것이 바로 취득세입니다. 취득세는 주택을 처음 매수(매매)할 때 납부해야하는 세금이며, 양도소득세는 주택을 매도(판매)할 때 납부하는 세금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부동산 취득세는 보유 주택수, 면적 등에 따라 세율이 상이합니다. 취득세율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기존 포스팅을 보시면 본인의 조건에 따른 취득세율까지 확인이 하실 수 있습니다. 부동산 취득세납부기한, 취득세율, 감면대상 총정리 취득세는 부동산을 취득한 날을 기준으로 60일 이내 납부해야 하며, 기간이 지나면 가산세 또는 중가산세를 추가로 납부해야 하기 때문에 반드시 기간 내 납..

재테크/부동산 2022.09.03